건축/정보

주광 분석이 가져오는 디자인의 변화

Abrief 2015. 5. 28. 08:16


최근까지 랜더링이 주광을 이해하는 주요 수단이었다. 그러나 새로운 주광 분석 도구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들 도구들은 건축가들이 주광을 볼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제공하고 있으며, 디자인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빛은 디자인에서 경험적인 것으로만 인식되었다. 이를 위하여 랜더링을 통하여 디자인의 느낌을 검토하여 왔다. 그러나 이를 충분하다 할 수 없다.

   더욱 디테일한 주광 분석은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다. 3D 모델을 필요로 하며, 많은 자료와 기술적 전문성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새로운 도구들은 보다 빠르고 직관적이며, 현재 디자이너의 모델링 환경에서도 가능하게 되고 있다. 이를 통하여 분석과 의사 결정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도구의 변화는 주광을 다른 각도에서 인식하도록 건축가를 유도하고 있다. 특히 건물 전체에 대한 연간 분석, 연간 주광 시각화, 그리고 시간별 시각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연간 분석은 일년을 통한 주광의 건물에 대한 영향의 분석이다. 특정 주광 계획의 목표가 무엇이며 어떠한 것이 가장 좋은 설계인지를 이해할 수 있다.

   연간 주광 시각화는 건물 특정 부분이 어둡고 특정 부분이 너무 밝은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의도한 방식으로 주광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연간 공간적으로 주광이 제대로 비추는지를 알 수 있다.

   시간별 시각화는 공간의 느낌이 어떠하며, 시간의 변화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며, 겨울 한 가운데 혹은 여름 한 가운데 어떠한 빛이 비추느냐를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공간의 경험을 구체화 할 수 있다.

참고문헌